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 영어 말하기를 가르치는 방법
영어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자주 사용되는 의사소통 수단이다. 따라서 영어 말하기를 잘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큰 이점이 된다. 특히 어린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대부분 영어를 처음 접하게 되기 때문에, 말하기부터 가르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더 쉽고 효과적으로 영어 말하기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말하기 놀이와 게임 활용하기
언어는 놀이와 게임으로 배우면 효과적이다. 영어도 마찬가지다. 특히, 저학년 초등학생들이 영어를 배우는데 게임과 놀이를 활용하면, 공부한다기보다는 놀이로 받아들여서 더 부담 없이 영어를 익힐 수 있다. 이러한 놀이와 게임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참여를 장려하고 언어 습득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기존의 놀이를 영어로 진행할 수도 있고 새로운 영어놀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잘 아는 스무고개를 영어로 해 보면 영어로 질문을 하고 대답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이 게임에서 아이는 엄마가 정한 주제와 관련된 단어를 맞추기 위해, 최대 20번의 질문을 할 수 있다. 결과에 따라 공수를 바꿔가면서 다시 질문과 대답을 할 수 있다. 이런 게임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사고력 및 언어능력이 유의미하게 개선된다 (Saruji & Saruji, 2020).
2. 노래와 동요를 활용한 학습
노래와 동요는 영어 습득을 위해 가장 오랫동안 친근하게 이용되어 온 아주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제스처, 리듬, 반복적인 멜로디를 통해 아이는 쉽게 어휘와 영어 문장을 익힐 수 있으며 쉽게 영어 말하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아이의 수준에 따라서 노래를 바꿔가면서 말하기 연습을 해 볼 수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 적합한 노래와 동요를 찾아서 노래를 함께 하다 보면 적합한 어휘와 문법을 소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아이들은 시간가 관련된 숙어(예: "In the morning, " "Right now")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도 노래와 동요 활동을 통해 영어 어휘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고 증명한 바가 있다 (Medina, 1993).
3. 다양한 학습 자료와 매체 활용하기
다양한 학습 자료와 매체를 활용하면, 아이들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어를 경험하면서 배울 수 있다. 비디오, 오디오, 인터넷, 유튜브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발음과 어휘, 문법 등을 학습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방식으로 영어를 활용하고 배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함께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간단한 영어 질문을 만들고 서로 묻고 답하는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그 과정을 통해 아이들이 새로운 어휘와 표현을 배우고, 영어 듣기 및 말하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연구자들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 환경을 더 풍부하고 자연스럽게 만들어 줄 것을 제안한다 (Chun & Plass, 2000).
4. 역할놀이와 상황 연습
역할놀이와 상황극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엄마와 함께 다양한 역할과 상황을 준비하면서 아이의 창의력과 표현력도 키울 수 있습니다. 더욱이,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도 엄마와 함께라면 새로운 역할에 쉽게 빠져들어 영어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엄마와 아이가 함께 가상의 여행 계획을 세우면서 다양한 여행 관련 어휘와 문장 구조를 연습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차표 예약이나 음식점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상황과 같은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영어를 사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실제로 상황 별로 영어를 연습을 하게 되면 아이의 말하기 능력은 크게 개선된다 (Hogan-Brun & Wolff, 2003).
5. 긍정적인 피드백과 격려
특히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아직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자신의 능력과 경험에 대해 불안해하거나 걱정할 수도 있다. 이럴 때일수록, 엄마는 아이에게 계속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지속적인 격려를 통해 아이의 자신감을 높여주어야 한다. 그래야 아이는 더 적극적으로 영어 말하기를 연습하고 그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아이가 영어로 말하도록 시키고 난 뒤에는 긍정적인 칭찬과 앞으로 개선할 부분에 대한 조언을 간략하게 제공하는 것이 좋다. 지나치게 비판적이거나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Mackey et al. (2000)의 연구에서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언어 학습자의 말하기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위에서 이야기한 다섯 가지 방법을 적극 활용하면,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영어 말하기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 놀이와 노래, 새로운 미디어 활용, 각종 상황극을 통해 아이들이 영어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준비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그러면 아이들은 영어 말하기에 자신감을 갖고 연습할 것이고 그 실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엄마들은 아이들에게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하여 영어 말하기를 가르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References
Chun, D.M., & Plass, J.L. (2000). Networked multimedia environments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M. Warschauer & R. Kern (Eds.), Network-based language teaching: Concepts and practice (pp. 151-17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Hogan-Brun, G., & Wolff, D. (2003). Variation in successful adult second-language acquisition of syntax. Second Language Research, 19(4), 367-384.
Mackey, A., Philp, J., Egi, T., Fujii, A., & Tatsumi, T.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noticing of interactional feedback and L2 development. In J. Foster-Cohen, M. Pawlak, & A. Włodarczyk-Stachurska (Eds.),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pp. 181-208). Poznan, Poland: Adam Mickiewicz University.
Medina, S.L. (1993). The effect of music on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FEES News, 6(4), 1-12.
Saruji, R., Saruji, F. (2020).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lphabet Bingo Game in English Teaching in a Pre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24(07), 6075-6084.
'English in 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확성과 유창성의 딜레마 (0) | 2023.05.05 |
---|---|
정확성(Accurarcy)과 유창성(Fluency)의 조화 (0) | 2023.05.05 |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 영어 듣기를 가르치는 방법 (0) | 2023.05.05 |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 영어 읽기를 가르치는 방법 (0) | 2023.05.05 |
Multiliteracies와 영어 교육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