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lish in use

Multiliteracies와 영어 교육

728x90

Multiliteracies는 뉴 런던 그룹이 1996년 처음 그 개념을 제시한 이래로, 현대 사회에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과 표현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교육하려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특히, 영어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들이 영어 독서와 쓰기와 같은 전통적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 다국어 리터러시, 다문화 리터러시 및 기타 다양한 의사소통 형태에 능숙해지도록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학생들은 점점 연결되고 다양화, 다중화 되어가는 새로운 세상에서 더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디지털 미디어의 복잡하고 급변하는 세계에 더 잘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Multiliteracies의 필요성

과거와 달리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과 표현 수단이 존재하며, 이러한 현실에 대처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다양한 리터러시를 배우고 익혀야 한다. 특히, 영어는 세계 공용어(English as a lingua franca)의 역할을 차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보다 더 중요한 지위를 맡게 되었다. 학생들은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여 새롭게 연결된 세상에 참여하게 되었고, 영어는 그들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도구가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소리, 음악, 비디오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되며, 이것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을 때,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검색한다. 이때 학생들은 검색 결과에서 적절한 정보를 식별하고, 이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또한, SNS를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에 게시물을 작성하려면, 시각적 리터러시와 다국어 리터러시와 다문화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게시물에 포함된 글자, 소리, 음악, 이미지, 비디오 등을 비판적으로 선택하고 분석하여 이해하며, 다시 의도한 바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의미를 새로운 미디어로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Multiliteracies와 영어 교육

전통적인 영어 교육은 읽기와 쓰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의미를 전달하고 의사소통에 필요한 주된 매체가 종이와 책에서 스크린으로 옮겨지면서 영어의 역할과 위상은 크게 달라졌다. 과거의 의사표현 방식이나 전달 방법은 현대 사회에서 발달하고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 수단이나 표현 방식을 수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영어 교육에서도 Multiliteracies 접근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멀티 모달, 다국어, 다문화 리터러시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보유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단순한, 외국어로서의 영어는 그 지위가 크게 약해졌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서 독서를 할 때에도 전통적인 영어 텍스트뿐만 아니라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활용함으로쓰여 학생들의 새로운 리터러시 이해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또한, 영어 작문을 할 때에도 학생들은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직접 사진이나 이미지로 블로그를 작성해 보거나, 비디오를 제작하여 다른 학생들과 온라인으로 혹은 오프라인으로 공유하면서, 더 신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영어를 배우고 연습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Multiliteracies의 강조

새로운 리터러시에 대한 필요성은 학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미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다양한 논문과 서적들이 저널과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로 새로운 커리큘럼을 만들어 교육 시스템 안으로 받아들인 경우도 여럿 있다. 교육학자인 김현희 교수는 "Multiliteracies는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과 표현을 반영하는 교육 접근법이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이런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맥락에서 더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Multiliteracies는 국제적인 관점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공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이 의사소통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영어 교육에서는 다국어 다문화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Multiliteracies 접근법을 적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서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다루는 자료를 활용할 때, 새로운 문화와 언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또한, 다른 나라의 학생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 서로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서는 다국어 다문화 리터러시가 반드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Multiliteracies는 현대 사회에서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과 표현을 반영하는 교육 접근법이다. 특히, 영어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들이 영어라는 한 언어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리터러시를 익힐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단순히 종이 위에 써 있는 영어에 대한 이해를 넘어, 스크린 상에 펼쳐진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복합적으로 전달되는 의미를 이해하고 또 표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새로운 미디어 시대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문화적 이해와 존중의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